석굴암의 전실을 지나 본존불이 모셔진 주실(主室)로 들어가기 위하여는 사천왕상이 있는 비도(扉道)를 지나야 합니다.
비도(扉道)라는 것은 한자가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집(戶)안으로 들어가는 사다리(非자의 모양)를 뜻하는 것입니다.
석굴암을 참배하는 신앙인은 전실(前室)을 지나면서 사바세계의 더러움(汚濁)을 씻어내고, 다시 비도를 통하면서 천상세계에 떠도는 악귀들의 위협에서 벗어나 사천왕이 비호하는 안전한 불법(佛法)의 세계로 인도됩니다.
불교에서 사천왕이란 천상계(天上界)의 첫번째 하늘인 욕계(欲界) 6천 가운데 제1천인 사천왕천을 다스리는 왕들을 말합니다.
불교에서 상정하는 하늘의 중앙에는 수미산(須彌山)이 있고, 그 산의 중턱에는 동, 서, 남, 북에 각 천왕(天王)이 있어 그 지역을 관장한다고 합니다.
사천왕이란 원래 고대 인도의 신화적 존재였으나 불교에 흡수되면서 온갖 귀신들을 다스리며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호법(護法)의 존재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사천왕상이 고대 인도에서도 초기에는 귀족적인 상으로 표현되었다가, 중앙아시아를 거치는 동안 갑옷을 입은 무장의 모습으로 바뀌었고, 얼굴표정도 분노를 띠었는데, 그것이 신라에 이르러서 무섭지 않은 소박한 표정으로 안착된 것입니다.
석굴암 사천왕상의 공통점은, 모두 두광(頭光)이 있으며 머리에는 화려한 띠를 둘렀고, 몸에는 무장(武將)의 갑옷을 입었고, 하늘을 나는 모양을 표현하기 위한 천의(天衣)가 있다는 점 입니다.
그 얼굴형상은, 중국이나 일본의 것이 모두 눈을 위협적으로 크게 뜨고, 입을 벌린 공포스러운 모습인데 반하여, 얼굴은 모두 평온한 인상이고, 사천왕의 발에 깔린 악귀마저도 고통에 찬 모습이라기 보다는 정복당한 것에서 지극한 법열을 느끼고 있다고까지 느끼게 되는 모습입니다.
이처럼 사천왕상을 사찰의 입구에 설치하는 형식은 후대의 다른 사찰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다른 사찰에서는 그림으로 그려져 있거나 혹은 거대한 목각으로 새겨져 있는 경우가 있고, 사천왕을 모신 문을 천왕문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석굴암의 사천왕상은 후대의 표현에 훨씬 앞서서 다른 모든 후대의 조각들보다도 더 정교한 것입니다.
본존을 향하여 왼편 뒤쪽에 있는 천왕상 입니다. 서방 광목천왕(廣目天王)은 수미산 중턱의 서쪽에 주처(住處)가 있는 천왕(천왕, Deva) 입니다. 범어로는 "Virupaksha"라고 하며, 그 뜻은 이상한 눈, 추한 눈을 의미를 가진 것으로, 그래서 한문으로는 추목(醜目), 악안(惡眼)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는 광목천왕이라고 불리어집니다.
광목천왕은 고대 인도에서 시바(Siva) 신의 화신으로서 세 개의 눈을 가진데서 유래하며, 그 권속으로 여러 종류의 용(龍)과 부단나(富單那) 등이 있으며, 부단나란 냄새나는 귀신, 아귀를 말한다고 하며, 때로는 열병을 앓게 하는 귀신이라고도 생각되었습니다.
용은 하늘에서 구름, 비, 천둥 등을 부리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광목천왕의 지물(持物)은 다라니집경에는 왼손에 칼 또는 창을, 오른 손에 붉은 밧줄을 들거나 손가락을 새끼처럼 꼬아든다고 하며, 일자불정륜경에는 왼손에 창을, 오른손에 금강저를 든다고 하고, 약사여래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에는 밧줄을 든다고 합니다.
불국사 사천왕상처럼, 때로는 광목천왕의 권속인 용을 표현하기 위하여 한손에는 용을 잡고, 다른 한 손에는 보옥(寶玉)을 잡은 형태도 발견되며, 웅변을 통하여 온갖 나쁜 말들을 물리친다는 뜻으로 입을 크게 벌리거나 온몸이 흰색으로 칠해져 있기도 합니다 (이처럼 사천왕상에 색깔이 칠해진 것은 아마도 陰陽五行說의 영향을 받은 탓이 아닌가 짐작해봅니다). 석굴암에 조각된 서방 광목천왕의 머리는 본체에서 떨어져서 윗부분을 쇠못으로 고정시켜둔 상태이며, 언제부터 이러한 형태로 되어왔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머리칼은 머리에 찰싹 달라붙어 있고, 무늬띠로 머리를 묶고 있으며 꽃장식이 있습니다. 얼굴은 약간 둥근 편이지만 광대뼈가 불거져나와 있고 턱끝이 뽀족하며, 두눈을 크게 뜨고 있고 입은 약간 벌린 채 혀를 내민 듯하고, 약간 미소를 띤 듯하게 느껴집니다. 어깨는 약간 비틀고 있고 가슴과 어깨는 당당하고, 허리는 잘쑥하고 왼발을 활기차게 내밀어 발가락을 위로 쳐들었으며, 오른발도 발꿈치를 들어 앞으로 걸어나오는 듯 합니다. 이는 광목천왕이 한 손에 밧줄을 들거나 손가락을 새끼처럼 꼬는 것을 발에서 표현하여 발을 꼬는 형태를 보인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매우 활기찬 형태를 보입니다. |
광목천왕에게 밟힌 악귀는 왼팔을 땅을 짚고 상반신을 약간 들어 위로 보면서 옆으로 기어 도망하려다가 잡힌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북방 다문천왕(北方 多聞天王)
본존을 향하여 오른편 뒷쪽에 있는 천왕상 입니다. 북방 다문천왕(多聞天王)은 수미산 중턱의 북쪽 영역을 관장하는 천왕(天王, Deva) 입니다.
범어로는 "Vaisravana"라고 하며, "Vai"는 두루(遍, 普)의 뜻을 가지고, "Sravana"는 듣는다는 뜻으로, 두루 많이 듣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문천왕은 수미산 북방을 지키면서 부처님의 설법을 가장 많이 들었다고 하여 그 이름이 유래한 것입니다.
고대 인도의 아타르바 베다에서는 지국천왕이 암흑계에 머무는 악령의 우두머리로서 재물과 복덕을 주관하는 존재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다문천왕은 권속으로 야차(Yaksa), 나찰(Raksasa)를 부리며, 야차는 행동이 민첩하고 가벼우며 음악과 환락,음식, 오락, 바람을 주관하며 숲속이나 묘지, 골짜기에서 산다고 하고, 나찰은 '두려운 존재'라는 뜻으로 혈육(血肉)을 먹고 탐내는 존재라고 합니다.
이러한 다문천왕은 불교에 흡수되면서, 야차와 나찰을 부하로 부리면서 부처님의 설법을 가장 많이 듣고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존재로 변화된 것입니다.
다문천왕의 지물(持物)에 대하여, 다라니집경에는 왼손에 창을 잡고 땅을 짚고, 오른손에는 불탑(佛塔)을 든다고 하며, 일자불정륜경에는 왼손에 창, 오른손에 금강저를 든다고 하고, 약사여래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에는 왼손에 막대, 오른손에 탑을 든다고 하며, 어둠속을 방황하는 중생을 제도한다는 뜻으로 얼굴이 검은 색으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석굴암의 사천왕상에 대해서도 그 지물이 분명히 구별되지 아니하나, 바로 탑을 들고 있는 이 사천왕상을 북방 다문천왕으로 판별한 다음 방향에 따라 나머지 사천왕상의 구별하고 있습니다. 북방 다문천왕은 몸을 약간 틀어 왼손에 탑을 들고 있으며, 발은 악귀의 어깨를 딛고 있습니다. 허리를 활처럼 굽혀 한쪽으로 전진하는 듯한 느낌을 주며, 다른 사천왕상에 비하여 젊게 묘사되어 있고 신체도 보다 건장합니다. 머리칼은 비교적 얕게 조각되었고, 스카프를 쓴 것처럼 보이며 구슬띠로 머리를 묶었고 중심에 꽃 장식이 있습니다. 왼손은 활짝 펴서 힘을 집중시키는 듯한 느낌을 주며 오른 손은 어깨까지 들어 묘하게 굽혀 손끝에 탑을 살짝 올려 놓고 있습니다. 탑은 4각형 대좌에 중간에 4각형 탑신, 맨위에 4각 지붕이 있고, 탑을 든 손은 손상된 것을 복원 당시 떨어진 부분을 발견하여 다시 붙여 놓은 것입니다. |
남방 증장천왕(南方 增長天王)
본존을 향하여 왼편 앞쪽에 있는 천왕상 입니다. 남방 증장천왕(增長天王)은 수미산 중턱의 남쪽에 있는 '유리'라는 지방을 관장하는 천왕(天王, Deva) 입니다. 범어로는 "Virudhaka"라고 하며, 그 뜻은 자꾸 늘어난다, 확대된다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그래서 한문으로 증장(增長)이라고 합니다.
증장천왕은 그 권속으로 굼반다(Kumbhanda)와 프레타(Preta)를 부리며, 굼반다는 배가 매우 부른 모습으로 표현되어 욕심이 매우 많은 아귀라고 하며 '비사사'처럼 사람의 정기를 빨아먹는 귀신이라고 합니다. 프레타는 죽은 사람들의 영혼을 부리며 보통 6악도(惡道)라고 불려지는 중생들이 거처하는 아귀를 의미합니다.
증장천왕의 지물(持物)에 대하여, 다리니집경은 왼손을 펴서 칼을 잡고, 오른손에는 창을 잡는다고 하며, 일자불정륜경에는 오른손을 허리에 대고 왼손에 창을 잡는다고 하고, 약사여래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에는 칼을 잡는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칼을 잡는 것으로 보입니다.
동방 지국천왕(東方 持國天王)
본존을 향하여 오른쪽 앞쪽에 있는 천왕상 입니다.
그 옆에는 북방 다문천왕(多聞天王)상이 있습니다. 동방 지국천왕(持國天王)은 수미산 중턱의 동쪽 영역을 관장하는 천왕(天王, Deva)입니다. 아쇼카왕경이나 방등대집경에 의하면, 수미산을 다스리는 제석천 또는 부처님이 지국천왕으로 하여금 동방에서 불법(佛法)을 지키라고 명령하였다고 하며, 그래서 지국천왕은 나라를 지키고, 백성을 편하게 할 것을 맹세하였다고 하여 그 이름이 유래된 것입니다.
동방 지국천왕의 범어 이름은 "Dhritarashtra"라고 합니다. 고대의 인도 베다(아타르바 베다, 마하브하라타 베다) 등 고문헌에 나타난 신화들에서는 지국천왕이 그 권속으로 '간다르바'를 부린다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후대의 불경에서는 지국천왕이 '간다르바'나 '비사사'라는 귀신을 부리면서 동방에서 참된 도리를 파괴하고 선한 백성을 괴롭히는 자들을 물리치는 역할을 한 것으로 표현됩니다.
'간다르바'라는 귀신은 향기를 먹고 사는 귀신이라고 하며, 그래서 중국에서는 심향(尋香)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비사사'라는 귀신은 사람의 정기(精氣)를 뺏는 탐정귀(貪精鬼)라고 합니다. 이런 '간다르바'와 '비사사'를 부하로 부리는, 동방지국천왕이 가지고 있는 물건(持物)에 대하여는 경전마다 조금씩 달리 표현되어 있습니다. 다라니집경에 의하면, 동방지국천왕은 왼손에 팔을 내려 칼을 잡고, 오른 손을 구부려 보주(寶珠)를 쥔다고 하고, 일자불정륜경(一字佛頂輪經)에 의하면, 왼손에는 창, 오른손은 손바닥을 올려드는 형상이라고 하며, 약사여래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 중 염송의궤공양법에는 비파(琵琶)를 든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불국사 천왕문의 목각 사천왕상중에는 이처럼 비파를 든 천왕이 바로 동방지국천왕 입니다. 석굴암의 지국천왕상은 오른편 앞쪽에서 고개를 동쪽으로 향하고, 갑옷 차림에 두손에 칼을 비스듬히 들고는 당당하게 악귀를 밟고 서 있습니다. 상체는 갑옷을 걸치고, 하체는 그대로 둔 형태로 이는 전투형과 의식(儀式)형을 합한 형태로서, 갑옷은 어깨와 가슴에 견고한 형태로 걸쳐져 있고, 머리는 굳게 동여맨 형태이며, 무릎까지 종아리받이(脛甲)를 단단이 조여매었고, 입을 가볍게 벌리고 있습니다. 발아래 밟힌 악귀는 곱슬머리에 머리카락을 한줄로 닿아 내리고, 눈을 크게 뜬 채 고통을 호소하는 듯 입을 한껏 벌렸으며, 두 손은 무릎을 잡고 지국천왕이 내려밟는 힘에 굴복하여 겨우 버티고 있는 형상이고, 볼룩한 배와 울퉁불퉁한 근육이 보이며, 옷은 입지 않은 모습입니다. 이 악귀의 모습은 지국천왕의 권세에 완전히 굴복한 형상이지만, 또한 그렇게 항복한 채 무척이나 행복해 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이중적인 인상이기는 하지만, 굴복당하여 밟힌 괴로운 형상이면서도 마냥 괴로워하거나 고통스러워 하는 모습만으로 보이지 않는 것은 바로 석굴암 사천왕상의 훌륭한 면모를 보이는 것 입니다. 때로, 악귀의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이런 이중적인 면모야말로 신라인들이 석굴암을 통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분명한 신앙고백의 하나가 아니겠는가'하는 생각이 듭니다. 왜냐하면, 불국사, 석굴암의 전체적인 조영의도는 역시 당시 신라인들의 기본적인 세계관과 우주관을 이루었던 화엄경과 법화경, 유마경 그리고 여러 밀교경전들의 가르침을 엄밀하게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었고, 부처님의 가르침은 결국 사천왕이나 악귀들 모두 불성을 가진 존재로서 둘이되 둘이 아닌 (不異不二) 완전한 우주에 지나지 않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